이번 챌린지는 생성형 AI를 활용해 직무 과제를 직접 해결하며 문제해결력과 도구 활용 역량을 보여줄 수 있는 좋은 기회입니다. 여러분의 도전과 성장을 진심으로 응원합니다!
👋안내사항
안녕하세요, 서비스 기획자 여러분👋
알바몬은 매일 수많은 사용자와 공고가 연결되는 대한민국 대표 1위 아르바이트 플랫폼입니다.
그러나 최근 경쟁 서비스인 알바킹(가칭)이 지역 기반의 UX로 빠르게 사용자 층을 확장하고 있습니다.
이번 과제에서는 경쟁사 분석 + 가상의 데이터 분석 기반 인사이트 도출을 통해,
👉 알바몬이 공략해야 할 핵심 사용자군을 정의하고
👉 이들에게 제공할 기능, 콘텐츠, 구조 개선 포인트를 도출하는 것이 목표입니다.
🎯 MISSION
알바몬과 경쟁사의 비교 분석 및 지역 데이터 분석을 통해, 알바몬이 새롭게 집중해야 할 타겟과 전략을 AI와 함께 도출하라
🧩 문제 배경
- 현재 알바킹은 ‘동네 기반 연결’이라는 차별화된 전략으로 동네 알바 채용, 소상공인 구인, 커뮤니티까지 빠르게 확장중
- 알바몬은 광역 중심 전통적 채용 플랫폼으로 경쟁사로 인해 지역별 공고량/지원자 수/접속률의 변화를 겪고 있음
- 특정 일자의 스냅샷 (가상의) 데이터 기반 인사이트와 경쟁사 대비 차별 포인트를 통한 종합한 전략 수립이 필요한 시점
📱 과제 설명
알바킹은 가상의 플랫폼으로서 비정규직 채용 플랫폼(당근, 알바천국 등) 유사 서비스 선택 가능
STEP 1. 경쟁사 분석 – 알바킹 중심 비교
- 알바킹의 구직/채용 관련 기능과 UX 흐름 또는 확장 전략을 분석
- 알바몬과 비교해 강점/약점/차별화 전략을 표 또는 요약 형식으로 정리
- AI 도구를 활용하여 사용자의 needs에 따른 서비스 이용 경로, 타깃 포지셔닝 등을 구조화
- ex) “알바킹의 알바 채용 기능은 누구를 대상으로 어떤 방식으로 설계되었나?”
STEP 2. 지역 기반 데이터 분석 – 공고 및 지원 현황 해석
- 제공된 예시 데이터(샘플 구조에 맞춘 가상 데이터)를 기반으로 AI와 엑셀을 활용하여 분석
- 지역별 공고 수, 지원자 수, 공고당 지원률 등 주요 지표를 정리/시각화
- AI 도구를 활용하여 데이터의 패턴과 그 원인을 추론하고 문제점, 개선 포인트를 도출
- AI를 활용한 지역별 인구 분포/산업 동향, 채용 경기 지표 등의 데이터 결합도 가능
- ex) “인천, 광주 등에서 공고 수는 많지만 지원률이 낮은 이유는 무엇일까?”
STEP 3. 타겟 정의 및 전략 제안
- 앞선 STEP 1, STEP 2 분석을 종합하여, 알바몬이 새롭게 집중해야 할 타겟 사용자군을 정의
- ex) 특정 지역 지방 40대 여성 구직자, 고교생, 리턴맘, 오프라인 위주 구직자 등
- 타겟의 니즈를 충족하기 위한 서비스 피쳐, 콘텐츠 전략, UX 개선안 등 다양한 필드에서 자유롭게 AI와 함께 설계
- 전략은 기획서 구조로 간략히 제안 (전체 전략의 방향성과 예시 중심)
- ex) “지방 소형 자영업 채용주를 위한 모바일 간편 공고 등록 플로우”
- ex) “대학생 전용 포지션 큐레이션 영역 및 채팅 문의형 공고 UI”
🤖 AI 활용 가이드 예시
- 경쟁사 분석
- "알바킹의 UX 구조를 요약해줘"
- "알바몬과의 비교표를 작성해줘"
- 데이터 분석
- "이 공고 데이터를 분석해 지역별 지원의 패턴을 찾아줘"
- "지원률이 낮은 지역에서 추론 가능한 원인은?"
- 전략 설계
- "고등학생 구직자 전용 UI를 구성해줘"
- "지방 자영업자 채용 경험 개선 피쳐를 제안해줘"
🌟 제출 자료
- 경쟁사 분석 요약
- 지역 데이터 분석 결과
- 시각화(차트/지도/표 중 택1) 및 해석 요약 설명
- 타겟 정의 및 전략 제안
- 기획서 형식 요약안 (PPT, Notion, DoC 등 자유)
- AI 협업 로그
- 텍스트, PDF, 스크린샷 등 진행 과정의 프롬프트 전체 로그 제출
👀 평가 포인트
- AI 활용 역량
- 각 단계에서 AI를 어떻게 활용했는가 (프롬프트 설계, 결과 통합력 등)
- 인사이트 도출 역량
- 데이터에서 유의미한 문제를 발견하고 원인을 해석했는가
- 전략 설계 능력
- 타겟 설정이 명확하며, 실행 가능한 기능/콘텐츠 전략을 제시했는가
- 표현력/논리성
- 내용 정리가 간결하고 설득력 있게 구성되었는가
🛠️ 부가 자료 제공
지역별 공고 및 지원자 수 (모든 수치는 가상의 데이터입니다.)
- 기준날짜 : 2025년 07월 01일 ~ 07월 07일
- 각 서비스별, 지역별 공고수와 지원자 수의 합
- 알바몬 지원 수 설명
- 온라인, 홈페이지 지원수는 PC 환경에서 지원한 숫자
- 문자 지원수는 핸드폰 문자로 지원한 숫자
- 전화 지원수는 직접 통화로 지원한 숫자

🏆 도전해볼 준비가 되셨나요?
이 공모전은 여러분의 종합적인 서비스 전략/기획 역량을 확인하는 동시에,
실무에서 바로 활용할 수 있는 AI 활용 개발 프로세스를 체험할 수 있는 특별한 기회입니다.
비즈니스를 이해하고 사용자 중심으로 사고하며 데이터에 기반한 의사 결정을 위한 분석 능력을 기반으로
AI를 능숙하게 활용하는 역량을 보유한 기획자로 성장하는 첫걸음을 알바몬과 함께 시작해보세요!
문제에 정답은 없고 문제에 어떻게 접근하고 해결할지는 모두 여러분에게 자유롭게 열려 있습니다.
지금 바로 참여하여 AI와 함께 여러분의 잠재력을 십분 발휘해보세요! 🚀
✍️유의사항
- 일반문의 : 잡코리아 박주희 (pjh47@jobkorea.co.kr)
- 문제문의 : 잡코리아 장은희 (dseuni@jobkorea.co.kr)
❗️꼭 읽어주세요❗️
- AI Challenge 우수 수상자는 9월 초 개별 연락드릴 예정입니다.
잡코리아 복리후생에 대해 더 알고 싶으신가요?
👉 잡코리아 채용 홈페이지 바로가기 👈
👉 잡코리아 기술블로그 바로가기 👈